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내게 맞는 행복 추천 받기

내 상황에 맞는, 내가 원하는 복지서비스를 추천 받을 수 있습니다.

내게 꼭 맞는 복지서비스 추천을 위하여 당근행복 이용정보수집을 실시하오니 이용자 정보를 알맞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내게 꼭 맞는 복지서비스 추천을 위하여 당근행복 이용정보 수집을 실시하오니 이용자 정보를 알맞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기본정보

위치
성별
성별 선택
나이
생애
주기
생애주기 선택

근심걱정(복지사각) 선택 선택은 5개 까지 가능합니다

복지사각 선택
    • 건강보험료체납 여부
    • 고용보험개별연장급여대상자 여부
    • 고용보험비대상 여부
    • 고용보험실직사유대상 여부
    • 국민연금체납 여부
    • 기저귀조제분유지원대상자 여부
    • 기초생활긴급지원수급탈락 여부
    • 단가스 여부
    • 단수도 여부
    • 단전 여부
    • 방문건강집중관리군 여부
    • 범죄피해 여부
    • 본인부담경감 여부
    • 시설입퇴소 여부
    • 신생아청각선별검사대상자 여부
    • 월세금액기준이하가구 여부
    • 위기학생 여부
    • 기초생활긴급지원수급탈락 여부
    • 자살시도대상자 여부
    • 자살예방관리대상자 여부
    • 전기료체납 여부
    • 전세금액기준이하가구 여부
    • 피부양의무자장기요양 여부
    • 화재피해 여부

관심주제 선택 선택은 5개 까지 가능합니다

관심주제 선택
    • 1인가구 설명입니다
    • 건강 설명입니다
    • 고용 설명입니다
    • 고용 설명입니다
    • 고용안정 설명입니다
    • 교육 설명입니다
    • 교육 대출 설명입니다
    • 교육 역량강화 설명입니다
    • 금융지원 설명입니다
    • 다문화·북한이탈주민 설명입니다
    • 다자녀 설명입니다
    • 돌봄 설명입니다
    • 돌봄(안전·활동지원) 설명입니다
    • 문화·여가 설명입니다
    • 보육 설명입니다
    • 보육비지원 설명입니다
    • 보호·돌봄 설명입니다
    • 사회참여 설명입니다
    • 생활지원 설명입니다
    • 신체건강 설명입니다
    • 심리지원 설명입니다
    • 안전·위기 설명입니다
    • 양육 설명입니다
    • 일자리 설명입니다
    • 임신준비 설명입니다
    • 임신출산 설명입니다
    • 입양 설명입니다
    • 자립 설명입니다
    • 장애인 설명입니다
    • 저소득층 설명입니다
    • 정신건강 설명입니다
    • 주거 설명입니다
    • 주거 대출 설명입니다
    • 주거 환경개선 설명입니다
    • 출산 설명입니다
    • 출산비지원 설명입니다
    • 출산이후 설명입니다
    • 한부모 설명입니다

위기별 / 상황별 지원 선택은 5개 까지 가능합니다.

위기별 / 상황별 지원 선택
    • 가정폭력· 성폭력 피해자 설명입니다
    • 개발제한구역 설명입니다
    • 결핵 설명입니다
    • 노숙인 설명입니다
    • 농어업인· 도서민 설명입니다
    • 범죄피해자 설명입니다
    • 법무보호대상자(출소자) 설명입니다
    • 보훈대상자· 국가유공자 설명입니다
    • 사할린한인 설명입니다
    • 산재 설명입니다
    • 알코올 등 중독 설명입니다
    • 외국인 설명입니다
    • 원폭피해자 설명입니다
    • 위기가족 설명입니다
    • 위안부 설명입니다
    • 의사상자 설명입니다
    • 입양 설명입니다
    • 제대군인 설명입니다
    • 중증질환·희귀질환자 설명입니다
    • 진폐 설명입니다
    • 풍수해 설명입니다
    • 한센 설명입니다

서민금융 / 법률복지 선택 선택은 5개 까지 가능합니다

서민금융 / 법률복지 선택
    • 고용지원 설명입니다
    • 교육/컨설팅 설명입니다
    • 보험 설명입니다
    • 사업자금 설명입니다
    • 생계자금 설명입니다
    • 서민금융 설명입니다
    • 주거자금 설명입니다
    • 채무조정 설명입니다
    • 학자금 설명입니다
    • 교육 설명입니다
    • 법률상담 설명입니다
    • 법률지원(조정·중재·소송지원) 설명입니다
    • 세무지원 설명입니다

내가 선택한 행복 조건

신상정보

이름
전화번호
본인여부
본인여부 선택

1,194건의 복지서비스가 있습니다.

  • [사단법인 한국척수장애인협회] 재활지원사업
    척수장애인 및 그 가족척수장애인 재활 지원 - 종합상담실/인터넷정보센터 등 상담지원 및 척수장애 정보제공 사업 전개 - 척수장애인 활동가 파견을 통한 일상생활 동작 및 휠체어 기술 훈련 - 척수장애인 자가운동법 교육, 매트리스 클리닝을 통한 일상 복귀 지원 - 기타○ 신청방법 : 전화(1599-1991) 및 내방 ○ 상담전화 : 1599-1991(척수장애인 종합상담실) ○ 온라인 : 홈페이지 솔루션위원회 온라인상담실 (아래 링크 참조) ( http://www.kscia.org/board/list/menu04_06?init ) ○ 내방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22, 6층 4호(여의도동 이룸센터) 사단법인 한국척수장애인협회사단법인 한국척수장애인협회본 사업은 교통사고, 산업재해 등 각종 사고와 질병으로 중도에 장애를 입게 되는 척수장애인에게 상담 및 재활서비스를 제공하여 신속하게 사회의 일원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함없음http://www.kscia.org
  • [한국새생명복지재단] 독거노인 생활 지원 사업
    - 독거노인- 선물, 공연관람 제공 등(한달에 1번 지원)- 기타 접수 : 관내 구청에서 추천, 요양보호사 추천
    - 연중 접수한국새생명복지재단- 저소득 증명서
    - 독거노인을 증명할 수 있는 증명서http://www.koreassm.org
  • [㈜함소아&함소아제약] 동병하치 프로그램
    - 드림스타트, 위스타트 아동- 겨울철 질병예방을 위한 삼복첩 첩부 및 약선(탕약), 생탁차 제공- 각 지역센터 공고시㈜함소아&함소아제약
  • 햇살론
    연소득 3_500만 원 이하_ 또는 연소득 4_500만 원 이하이면서 개인신용평점 하위 100분의 20에 해당하는 근로자_ 자영업자 등사용목적에 따라 최대 5_000만 원까지 대출 근로자 햇살론(서민금융진흥원) 생계자금 1_500만 원 이내 ※ 한시적 대출한도 증액(2022년2월5일~12월31일까지) : 최대 1_500만 원→최대 2_000만 원(보증심사 등에 따라 대출한도 차등) 자영업자 햇살론(지역신용보증재단) 운영자금 2_000만 원 창업자금 5_000만 원 고금리채무 대환자금 3_000만 원 이내 · 신청 : 서민금융회사(지역 농협_ 새마을금고_ 신협_ SH수협_ 산림조합_ 저축은행) 전국지점 및 서민금융진흥원(맞춤대출서비스)에 신청 · 절차 : 대출상담 ? 서류제출 및 대출신청 ? 보증심사 및 보증서 발급 ? 대출심사 및 대출실행근로자 햇살론(서민금융진흥원) - 서민금융콜센터(☎1397) - 서민금융진흥원(www.kinfa.or.kr) - 서민금융진흥원 맞춤대출(loan.kinfa.or.kr) 자영업자 햇살론(지역신용보증재단) - 신용보증재단중앙회(☎1588-7365) 및 지역별 신용보증재단 - 서민금융진흥원 맞춤대출(loan.kinfa.or.kr)
    근로자 햇살론(서민금융진흥원) - 서민금융콜센터(☎1397) - 서민금융진흥원(www.kinfa.or.kr) - 서민금융진흥원 맞춤대출(loan.kinfa.or.kr) 자영업자 햇살론(지역신용보증재단) - 신용보증재단중앙회(☎1588-7365) 및 지역별 신용보증재단 - 서민금융진흥원 맞춤대출(loan.kinfa.or.kr)
  • 독립유공자(손)자녀 생활지원금(저소득가구 지원)
    보상금을 받지 않는 독립유공자의 (손)자녀 중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70%(4인 기준 358만 4_756원) 이하 또는 기초연금수급자(단독 또는 부부세대)인 경우소득 수준에 따라 매월 34만 5_000원~47만 8_000원까지 생활지원금 지원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에 신청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 장애인 체육시설
    등록장애인 등장애인의 체력증진 및 신체기능 회복을 위해 스포츠 활동 지원해당 지역 장애인 체육시설 등으로 이용 신청보건복지상담센터(☎129)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북한이탈주민 취약계층 긴급생계비 지원
  • [사회복지법인 밀알복지재단] 2022하나금융나눔재단과 함께하는 장애아동수술비지원사업
    가. 의료적 기준(각 호 해당 신청 가능) 1)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 및 신변처리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청소년 2) 희귀난치성질환자 3) 응급지원이 필요한 장애아동청소년 4) 장애에 준하는 질환 및 장애를 가지고 있는 미등록 장애인(진단서 및 소견서로 장애등록 대체) 나. 경제적 기준 1)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저소득층(안내문 내 참고) 2) 월평균소득 기준금액은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한 중위소득의 120%를 적용 수술비 본인부담금 일체 최대 500만원이메일 접수(miral9135@miral.org)사회복지법인 밀알복지재단치료가 필요한 저소득 장애아동청소년에게 수술비를 지원하여 의료적 상황을 개선하고 의료비 부담을 절감함안내문 참조http://www.miral.orghttp://miral.org
  •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
    기초생활수급자(생계급여·의료급여·주거급여·교육급여)_ 장애(아동)수당 수급자_ 장애인연금 수급자_ 차상위계층· 산림복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1인당 연 10만 원)을 50_000명에 지급 · 산림복지서비스제공자로 등록된 산림복지시설(자연휴양림_ 산림치유원_ 치유의 숲_ 산림교육센터_ 수목원_ 정원_ 숲속야영장_ 산림레포츠시설 등)에서 사용 가능· 이용권 신청 : 온라인 접수(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 누리집) 또는 우편 접수(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 149_ 한솔빌딩 10층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 담당자) · 이용권 발급 : 이용권 전용 앱(신한플레이) 설치 또는 선불카드* 신청 * 스마트폰 미소지자 또는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이 아닌 이용권자 등 · 사용기간 : 이용권 발급 후 ~ '22.11.30.(수)까지 · 신청기간 : '22.1.3.(월) ~ 1.28.(금) 오후 2시까지 · 선정일자 : '22.2.21.(월) ※ 2022년 선정 마감 ·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 누리집(www.forestcard.or.kr) ·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 콜센터(☎1544-3228)
    ·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 누리집(www.forestcard.or.kr) ·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 콜센터(☎1544-3228)
  • [한국사회복지공제회] 정부지원 단체상해공제
    ■ 가입대상 1. 사회복지법인 또는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자 2.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제1호 각 목의 법률에 따라 설치?신고된 기관에 종사하는 자 3. 민법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사회복지사업을 진행할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 기관에 종사하는 자 ■ ‘종사자’ 기준 1. 소속 법인/시설/기관에서 급여를 받고 4대 보험 중 하나 이상에 가입하며 경력(재직)증명서 발급을 통해 직원임을 인정받는자 2. 만 15세 이상인 자 ※ 직종 및 담당 직무 무관, 계약직이나 사회서비스바우처 인력 등 포함 ■ 가입불가 1. 사회복무요원(공익요원), 자원봉사자(급여를 받지 않고 시설에서 업무를 지원하는 자), 시설 이용자 (근로장애인 등 시설에서 급여를 받는 자활사업 이용자 포함), 비상근 무보수 대표자,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소속 종사자 등 은 가입대상 아님 2. 한국사회복지공제회 ‘노인맞춤돌봄종합공제’ 가입기관은 해당 노인맞춤돌봄 인력을 ‘정부지원 단체상해공제’ 에 중복가입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며 가입하여도 ‘정부지원 단체상해공제’에서 보상되지 않음 ※ 가입해도 보상불가 ※ 공제회는 상해공제보험 취지와 운영상의 필요, 관련 법령에 따라 가입대상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정부지원 단체 상해공제보험의 가입대상이 아닌 경우 가입 및 보상이 취소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모든 책임은 해당 시설에 있습니다.■ 시설 가입일 기준 보장사항 (※개인 시작일(추가배서) 기준 아님) ◎ 2020.01.01. 이후 보장담보 및 보상금액(한도) - 중복보상 1. 상해사망 : 3,000만 원 (정액) 2. 상해 후유장해 : 3,000만 원*장해율 3. 상해 입원일당비 : 입원 일당 2만 원 (첫날부터, 정액, 180일 한도) 4. 상해 골절진단비 : 사고 건당 15만 원 (정액, 건수 제한 없음) 5. 상해 화상진단비 : 사고 건당 20만 원 (정액, 건수 제한 없음) 6. 상해 의료지원비 : 50만 원 ~ 500만 원 ※ 상해 의료지원비 담보내용 : 급격하고 우연한 외래의 사고로 상해를 입어 병원치료를 할 경우 본인부담 병원비가 100만원 이상 시 급수에 따른 보장금액을 지급하는 담보 ※ 상해 의료지원비 자주하는 질문 질문 1. 개인 실손보험과 중복 청구 가능한가요? → 중복 청구 가능합니다. 질문 2. 산업재해(산재) 처리와 중복 청구 가능한가요? → 산재 처리분을 제외한 금액만 청구 가능합니다. 질문 3. 교통사고로 발생한 치료비도 청구 가능한가요? → 자동차보험사에서 처리된 부분을 제외한 금액만 청구 가능합니다. ※ 상해의료지원비 급수별 지급금액 ( 급수 / 본인부담 병원비 / 지급금액 ) 1) 급수 - 1급 / 본인부담 병원비 - 1000만원 이상 / 지급금액 - 500만원 2) 급수 - 2급 / 본인부담 병원비 - 900만원 이상~1000만원 미만 / 지급금액 - 450만원 3) 급수 - 3급 / 본인부담 병원비 - 800만원 이상~900만원 미만 / 지급금액 - 400만원 4) 급수 - 4급 / 본인부담 병원비 - 700만원 이상~800만원 미만 / 지급금액 - 350만원 5) 급수 - 5급 / 본인부담 병원비 - 600만원 이상~700만원 미만 / 지급금액 - 300만원 6) 급수 - 6급 / 본인부담 병원비 - 500만원 이상~600만원 미만 / 지급금액 - 250만원 7) 급수 - 7급 / 본인부담 병원비 - 4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 / 지급금액 - 200만원 8) 급수 - 8급 / 본인부담 병원비 -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 / 지급금액 - 150만원 9) 급수 - 9급 / 본인부담 병원비 -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 / 지급금액 - 100만원 10) 급수 - 10급 / 본인부담 병원비 -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 / 지급금액 - 50만원 ■ 보험금 청구 전 꼭 확인하세요. ◎ 일반상해란 피보험자가 국내 또는 국외에서 급격하고도 우연한 외래의 사고로 신체에 상해를 입은 경우를 말합니다. (질병 제외 및 해외소재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의료비 제외) ◎ 일반상해는 그 범위가 매우 넓어 일상생활(여행포함)중 발생된 대부분의 상해사고가 보상의 범위에 포함됩니다.■ 가입절차 1. 공제회 홈페이지 메뉴 ‘사업안내’ → ‘정부지원 단체상해공제’ → 신청/조회 탭 하단 ‘가입신청/조회’ 버튼 클릭 2. 사업자등록번호 입력 2-①. 일반 시설 (보건복지부 1만원 지원/ 시설 자부담 1만원) : 가입방식 선택 (‘현원기준형’ 또는 ‘명단입력형’) : 2022.1.1일 보장 개시되는 계약부터 적용 2-②. 지자체 추가지원 시설 (보건복지부 1만원 지원/ 지자체 일부금액 추가지원) : 가입방식 자동으로 화면 생성 (‘현원기준형’ 또는 ‘명단입력형’) 3. 선택한 가입방식에 따라 필수정보 입력 - 공제료 입금 전 반드시 설명서 및 약관의 내용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자부담 공제료(보험료) 1인 당 1만 원 입금 (연간 보험료) - 일부 지자체 추가지원이 있는 경우 시설 자부담 금액은 상이할 수 있음 - 입금계좌 : 한국사회복지공제회, 우리은행 1005-602-702524 5. 가입증서 및 영수증 출력 (시설보관) - 공제료 입금 후 1~2일 후에 기관로그인 후 마이페이지에서 출력 ※ 가입 및 해지 : 02-3775-8899 (ARS-2-1번) ※ 지자체 추가 지원가입 문의 : 02-3775-8899 (ARS-2-2번) ※ 공제보험금 청구안내 : 02-3775-8899 (ARS-2-3번)본 사항은 특정기한이 없는 계속사업이나 게시글 등록 시 필수입력 조건으로 인해 임의기간 설정한국사회복지공제회사회복지법인 및 시설, 어린이집, 장기요양기관 등 사회복지 관련 기관에 근무하는 임직원들에게 업무 및 일상생활 중 발생할 수 있는 상해사고로 인한 의료비용 등을 보장해 드리는 보건복지부 처우개선 정책사업으로 임직원 1인 당 年 보험료(2만 원) 중 50%(1만 원)을 정부에서 지원해 드리는 공제보험입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시설 자부담 50%(1만 원) 전액 또는 일부를 추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해지청약 관련 제출 서류 ◎ 해지청약서 * ‘명단입력형’으로 가입한 경우 - 해지청약의 경우 온라인 신청 후 해지청약서 (시설 직인 날인)를 반드시 공제회로 송부해 주셔야 해지환급이 진행됩니다. * 해지청약서 출력 방법 : 마이페이지 → 해당 계약번호 우측 (변경이력-청약서/영수증 출력) * 공제회 팩스번호 : 02-6969-9606 ■ 보상 청구관련 제출 서류 (공통서류) ◎ 공통서류 - 공제금 청구서 + 개인(신용)정보처리동의서(공제회 양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가능) - 피공제자의 신분증 사본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 피공제자의 본인 명의 통장 사본 - 피공제자의 재직 확인 증빙서류 :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 추가 서류는 공제회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제출서류의 대체 또는 추가서류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https://www.kwcu.or.krhttps://www.kwcu.or.kr/front/product/insurance2.do?brd_kind=2&top_no=2
    본 사항은 특정기한이 없는 계속사업이나 게시글 등록 시 필수입력 조건으로 인해 임의기간 설정
  • 국가보훈대상자 보훈장학금 지급
    · 대학원 : 국가보훈관계 법령에 따른 교육지원대상자 중 대학원에 재학하는 유공자 본인 및 전몰·순직·사망유공자의 배우자_ 전상·공상·전몰·순직군경·재해부상·재해사망군경의 자녀(부모가 모두 사망하고 35세 미만인 사람으로 한정) 중 직전학기 성적이 90점 이상인 자 · 특수학교 : 국가보훈관계 법령에 따른 교육지원대상자 중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른 특수교육대상자로 특수학교 또는 일반학교 특수(일반)학급에 재학 중인 자 · 대학 장학 : 6·25전몰군경 자녀의 자녀로서 대학에 재학중인 자대학원 및 특수학교_ 대학에 재학중인 자에게 학기별 장학금 지급 · 신청서 접수기간 : 1학기 2022년 4월 1일~5월 2일_ 2학기 2022년 9월 1일~9월 30일 · 접수처 : 교육기관 소재지 관할 보훈(지)청 보훈과 국가보훈처 보훈상담센터(☎1577-0606) 또는 교육기관 소재지 보훈(지)청 ※ 국가보훈처 누리집(www.mpva.go.kr) 예우보상 ? 지원안내 ? 교육지원 참조
    국가보훈처 보훈상담센터(☎1577-0606) 또는 교육기관 소재지 보훈(지)청 ※ 국가보훈처 누리집(www.mpva.go.kr) 예우보상 ? 지원안내 ? 교육지원 참조
  • 국가유공자 등 간호수당
    1~2급 중상이자 중 다친 정도가 심해 다른 사람의 보조 없이는 활동이 어려운 사람간병 필요성에 따라 매월 간호수당 지급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에 신청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주소지 관할 보훈지(방)청 및 보훈상담센터(☎1577-0606)

AI 추천을 받으시려면 개인정보를 입력해 주셔야 받으실 수 있습니다.

AI 추천 정보를 받으시겠습니까?